작가가 묵은 여관의 주인인 어머니는 ‘자고로 여자란 살림을 잘하고, 남편과 잘 지내면 그만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더 공부하고자 하는 자신의 딸이 소설을 쓴다며 묵고 있는 작가 때문에 나쁜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작가도 여관에서 나가고, 딸도 공부 대신 시집을 가라고 사람들을 압박하는데...
이 책을 통해 일제 강점기. 가부장적인 사람들의 생각에 맞서, ‘여자도 자기가 하고 싶은걸 스스로 결정하고, 본인이 원하는 걸 할 수 있는 하나의 사람이다.’라고 생각하는 작가의 마음을 헤아려 보자.
나혜석[羅蕙錫]
(1896. 4. 28. ~ 1948. 12. 10.)
화가이자 작가였던 그 당시 신여성인 그녀는
오빠의 주선으로 일본에 있는 사립여자미술학교에서 유학하면서 학우회 기관지인 ‘여자계’ 발행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고, 소설 경희를 발표했다.
1918년 귀국하여 1919년 3.1운동에 여성 참여를 조직하는 활동을 하다가 5개월 정도 옥고를 치른 후, 서울에서 개인전시회도 열게 된다.
변호사인 김우영과 결혼하여 남편을 따라 만주에서 살면서 그림도 그리고 글도 썼지만, 새로운 세계를 찾아 떠난 여행에서 파리서 만난 최린과의 관계가 귀국 후 문제가 되어 이혼도 하였으나, 여자미술학사를 차리는 등 독립적인 생활도 꿈꾸었다. 그리고 자신의 연애, 결혼, 이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과 심리를 털어놓고 식민지 조선 사회의 가부장제가 가지는 모순을 비판한 글인 이혼고백장과 신생활에 들면서를 발표하여 사람들에게 충격도 주었다.
그녀의 작품으로는 소설 경희, 규원, 원한등과 어머니와 딸, 신생활에 들면서, 이혼 고백장, 해인사의 풍광과 같은 수필과 파리의 그 여자와 같은 연극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