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룩송아지처럼 미련하고, 고집스럽고, 기운이 센 아이. 그 아이의 이름은 부룩쇠입니다.
성씨도, 나이도 모르는 이 아이는 사실 이 마을 아이가 아니랍니다.
어머니를 찾아 길 떠났던 부룩쇠.
그 아이는 어머니를 만날 수 있을까요?
우리도 부룩쇠를 따라 부룩쇠의 엄마를 찾으러 가봅시다.
채만식
(1902.6 ~ 1950. 6)
식민지 상황 아래에서의 궁핍, 도시민의 몰락, 광복 후의 혼란상등 당시 현실을 반영하고, 비판한 작품을 주로 썼던 채만식은 작품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였는데, 특히 풍자적 성향의 작품을 발표하다가 그 이후 독서회 사건으로 인해 산문등을 통해 징병을 선동하는 등 친일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그러나, 광복이후 ‘민족의 죄인’이라는 중편 소설을 발표하여 자신의 친일 행적을 반성하였다.
1924년 ‘조선문단’에 발표된 단편 ‘세 길로’로 문단에 등단한 채만식은 사립학교 교원과 동아일보 기자, 잡지 편집등을 하던 채만식은 1936년부터 전업작가로 활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