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까막눈이라도 지장 없이 살았던 윤서방은, 아들이 군대에서 보내는 편지를 받을 때마다 한글이라도 배워뒀어야 했다며 아쉬워한다.
아들이 보내주는 편지를 읽지도 못하는데다 답장까지 써 달라 부탁해야 하기 때문인데...
하루, 10분이라는 짧은 시간을 투자해서
아버지 말에 무조건 “네” 하던 창수가 군대에서 어떻게 변했을지, 한번 따라가 보자.
이무영
(1908. 1. 14 ~1960. 4. 21)
아명은 이용구, 개명하기 전 이갑용이라는 이름으로 살았던 필명 이무영은, 소설가이자 희곡 작가로 농민문학을 주로 했다.
일본작가의 문하생으로 작가수업을 받으며 1926년에 잡지 ‘조선문단’에 달순의 출가를 써서 등단하였던 그는, 잡지사와 보육학원등을 다니다가 사임하고, 작품 활동을 통해 친일반민족행위를 하기도 하였다.
해방 후에는 서울대에서 강의도 하고, 한국문학가협회에 참가도 하였다가,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해군으로 입대하기도 하였다.